[현장연결] 질병청 "전세계적 코로나19 발생 상황 증가세…국내도 위험"<br /><br />중앙방역대책본부가 코로나19 발생 현황을 설명합니다.<br /><br />현장 연결해 직접 들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[배경택 /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 상황총괄반장]<br /><br />코로나19 국내 발생 현황을 말씀드리겠습니다.<br /><br />4월 9일 0시를 기준으로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 수는 644명, 해외 유입 사례는 27명으로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0만8,269명입니다. 총 검사 건수는 8만6,053건이며 이 중 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에서 3만9,361건의 검사가 이루어져 118명의 확진자를 발견하였습니다.<br /><br />위중증 환자는 어제보다 1명이 증가한 113명이고 어제 6분이 돌아가셨습니다. 삼가고인의 명복을 빌고 유가족에게는 심심한 위로의 말씀을 드립니다.<br /><br />어제 발생한 코로나19 개별 사례와 관련해서는 금일 보도 참고 자료로 갈음하고 예방접종 현황 및 이상반응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.<br /><br />어제 3만6,599명이 1차 예방접종을 맞아 누적으로 총 111만3,666명이 1차 접종을 받으셨습니다. 1차 접종자 중 신규 1차 접종자는 452명으로 76만2,954명에 대한 1차 접종을 완료하여 접종률은 85%입니다.<br /><br />1분기 접종자 및 대상자별로 보면 요양병원은 18만6,480명, 요양시설은 10만3,035명, 1차 대응요원은 6만5,057명,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은 34만3,733명이 1차 접종을 완료하였습니다.<br /><br />2차 접종이 진행 중인 코로나19 치료병원의 경우 6만842명이 1차 접종을 받았고 5만2,136명이 2차 접종을 받았습니다. 또한 2분기 접종자 중 신규로 3만6,147명이 접종받아 누적 접종자는 35만712명으로 접종률은 8.3%입니다.<br /><br />이달 중 접종을 시작한 75세 이상 어르신과 노인시설 이용자, 입소자, 종사자분들은 총 14만1,596명이 1차 접종을 받으셨고 1차 접종률은 각각 3.2%, 18.6%였습니다. 3월 23일부터 접종을 시작한 65세 이상 요양병원, 요양시설 입원, 입소자와 종사자들의 1차 접종률은 각각 61.6, 45.8%였습니다.<br /><br />예방접종 후 이상반응으로 의심되어 신고된 사례는 총 1만1,468건으로 이 중 1만1,290건은 예방접종 후 흔하게 나타날 수 있는 근육통, 두통, 발열들의 사례였으며 111건은 아나필락시스 의심사례, 25건은 중증 의심사례, 42건은 사망사례가 신고되었습니다.<br /><br />최근 요양병원, 요양시설의 종사자와 60세 미만 입소자를 대상으로 2월 26일부터 예방접종을 실시한 후 병원 및 요양시설 관련 코로나19 관련 확진환자의 발생비율이 감소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코로나19 확진자 중 병원 및 요양시설 관련 발생비율은 2월 1일부터 예방접종 시행 전인 2월 25일까지 보면 평균 9.7%였으나 예방접종 실시 이후 주별 발생 비율은 지속 감소하고 있고 지난 3월 27일부터 4월 4일까지의 일주 발생 비율은 총 발생 확진자 중 2.0%였습니다.<br /><br />2월 시작한 백신의 효과가 나오면서 요양병원과 요양시설의 환자가 줄어들고 이로 인해서 위중증 환자와 사망자 수가 줄어들면서 전체적인 확진자는 늘지만 사망자는 감소하는 상황에 기여되었습니다.<br /><br />최근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 발생 상황이 다시 증가세로 돌아선 가운데 국내에서도 연일 600명대의 환자가 발생하면서 방역당국은 비상한 긴장감을 가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기침이나 발열 등 의심증상이 있을 경우 다중이용시설 등 사람이 모인 곳에는 가시지 마시고 증상이 있는 경우 최대한 빨리 가까운 선별진료소를 찾아 검사를 받아주시고 결과가 나올 때까지는 가족 간이라고 하더라도 마스크 착용과 거리두기 등 방역수칙을 철저히 지켜주실 것을 부탁드립니다.<br /><br />시설관리자께서도 밀집도 관리 및 철저한 환기, 소독 등 방역수칙 준수에 적극 참여해 주시기를 거듭 당부드립니다.<br /><br />최근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과 혈전 발생의 인과성, 접종의 안전성 등에 대한 국외 동향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.<br /><br />유럽의약품청은 4월 7일 아스트라제네카 백신과 일부 특이혈전 발생의 인과성에 대한 검토 결과를 발표하면서 백신 접종의 이익이 위험을 상회함으로 접종을 지속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다시 한 번 강조하였습니다.<br /><br />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 재개 여부와 관련한 향후 일정에 대해서는 국내외 동향 및 발생 사례를 충분히 분석하여 4월 8일날 혈전 전문가 자문회의를 재개하였고 금일 백신전문가 자문단회의 그리고 내일 예방접종전문위원회의 논의를 거쳐 주말 중 결과를 발표할 예정입니다.<br /><br />질병관리청은 백신 접종에 있어 안전성과 과학적 근거를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고 있습니다. 예방적 차원에서 접종을 중단했던 만큼 각계 전문가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여 접종 재개 여부 및 일정 등에 대해서 과학적이고 안전한 결과를 도출해내도록 하겠습니다.<br /><br />11월 집단면역과 2분기 접종 계획에 차질이 없도록 예방접종을 추진할 계획이며 국민 여러분들께서는 불안감보다는 일상 회복에 대한 기대감으로 예방접종에 적극 참여해 주시기를 다시 한 번 당부드립니다.<br /><br />지난 2월 26일 요양병원, 요양시설에서 예방접종이 처음 시작된 이후 일상회복을 위해 코로나19 예방접종에 지금까지 100만 명 이상 함께해 주셨습니다. 나와 가족, 이웃을 위해 예방접종에 참여해 주신 국민들께 진심으로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.<br /><br />또한 코로나19 방역과 예방접종의 일선 현장에서 헌신적으로 일하고 계시는 의료계 종사자 여러분, 지자체 관계자 여러분들께도 다시 한 번 감사 말씀드립니다.<br /><br />예방접종이 시작되었습니다. 기저질환이 있거나 고령이신 분들은 예방접종에 대한 불안과 우려도 많으실 거라고 생각합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지난 1년이 넘는 기간 동안 우리가 겪어왔던 코로나19를 되돌아보면 연령이 높거나 기저질환이 있는 분일수록 감염이 된 경우에는 치명률이나 중증으로 이환될 가능성이 높았습니다.<br /><br />코로나19 예방접종은 특히 이러한 고위험군에게 감염을 예방하고 또한 중증으로 이환되는 것을 막는 가장 효과적인 수단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. 가족이나 자녀분들께서도 어르신들의 건강을 위해서 코로나19 예방접종을 놓치지 않도록 잘 챙겨주실 것을 당부드립니다.<br /><br />예방접종은 우리의 건강을 지키고 코로나1...